알파 베타 감마 델타 :: 코로나 변이는 그리스 문자 순서를 따른다

2021. 9. 25. 21:56카테고리 없음

코로나가 2년 넘게 전세계를 덮은 요즘, 더욱이 무서운 소식은 계속 변이가 일어난다는 사실입니다. 그럴때마다 코로나-알파, 코로나-베타, 코로나-감마, 코로나-델타 순으로 이름이 지어지고 있습니다. 사실 이렇게 전세계를 위협에 빠트리는 전염병이 많지 않아서, 더불어 이렇게 변이가 많지 않아서 이름을 짓는법 자체가 생소하긴 한데, 오늘은 이런 병의 이름 작명 기준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목차

     

     

     

    병을 읽을때

    그리스 문자는 특히나 수학,과학에 많이 사용됩니다. 그래서인지 전염병 자체가 이과의 영역이기 때문에 그리스문자로 읽는것으로 보입니다. 특히나 정말 코로나가 더욱이 무서운건 정말 변이가 다양합니다. 지금까지 알파(영국), 베타(남아공), 감마(브라질), 델타(인도) 외에도 입실론(미국), 제타(브라질), 에타, 세타(필리핀), 이오타(미국), 카파(인도) 등의 변이가 있습니다. 처음에, 그것은 지역 이름에 따라 불렸지만, 나중에 바뀌었습니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브라질의 감마, 남아프리카의 베타, 영국의 알파, 인도의 델타 및 델타 플러스와 같은 돌연변이는 세계보건기구가 관심 있는 돌연변이 바이러스의 일종인 에타, 이오타, 카파로 분류됩니다. 사망률이 가장 높은 돌연변이는 베타 돌연변이이지만, 현재 발병률은 높지 않으며, 인도 델타 돌연변이는 높은 전파력으로 인해 세계적인 문제입니다. 이웃한 일본의 돌연변이에 비해 람다 돌연변이의 사망률이 가장 높습니다.

     

    그리스 문자 순서 :: 알파 베타 감마 델타

     

    • Α α - 알파 ALpha
    • Β β 베타 Beta
    • Γ γ 감마 Gamma
    • Δ δ 델타 Delta
    • Ε ε 엡실론 Epsilon
    • Ζ ζ 지타 Zeta
    • Η η 이타 Eta
    • Θ θ 티타 Theta
    • Ι ι 요타 Iota
    • Κ κ 카파 Kappa
    • Λ λ 람다 Lambda
    • Μ μ 미 Mu
    • Ν ν 니 Nu
    • Ξ ξ 크시 Xi
    • Ο ο 오미크론 Omicron
    • Π π 피 Pi
    • Ρ ρ 로 Rho
    • Σ σ 시그마 Sigma
    • Τ τ 타프 Tau
    • Υ υ 입실론 Upsilon
    • Φ φ 피 Phi
    • Χ χ 히 Chi
    • Ψ ψ 프시 Psi
    • Ω ω 오메가 Omega